Encyclopedia/Info Updated: 2024. 9. 14. 01:41 hwaya.

추석 그리고 한가위

반응형

 

추석은 왜 추석일까? 라는 궁금으로 시작하여 한가위는 뭘까? 보름달?
이런 궁금증으로 시작한 글이다.

모두들 알고 있는 내용부터 시작해보자.

추석

추석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음력 8월 15일에 해당한다. 설날의 라이벌이랄까? 한가위라고도 불리며, 한국의 농경문화에서 비롯된 감사의 날이다.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과 곡식을 조상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차례를 지내고,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이 전통적인 추석의 모습이다.

추석의 주요행사로는 차례 지내기, 성묘, 송편만들기 등이 있다. 차례는 조상에게 음식을 바치고, 그 은혜에 감사하는 제사 의식이다. 성묘는 가족들이 조상의 묘를 찾아가 깨끗하게 정리하고, 예를 표하는 전통이다.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이 송편인데 반달모양의 떡으로, 속에는 깨, 콩, 밤 등을 넣는다. 이 외에도 전, 갈비찜, 잡채 등 다양한 음식을 함께 나눠 먹는다.

한가위

한가위와 추석은 같은 명절을 가리키는 다른 표현이지만, 그 의미와 유례가 다르다.

한가위 : 한가위는 추석의 고유한 우리말 이름이다. ''은 크다 또는 가장 좋다는 뜻을, '가위'는 가운데 또는 중앙을 의미하는 옛말이다. 따라서 '한가위'는 가을의 한가운데 있는 가장 큰 명절이라는 의미로 풍요로운 수확을 축하하는 명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추석 : 추석(秋夕)은 한자어로, 가을의 저녁을 뜻한다. 가을 수확철, 특히 음력 8월 15일에 해당하는 저녁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추석'이라는 단어는 조선시대 이후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오늘날에는 공식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한가위라는 표현으로 사용해야겠다. 더 귀엽다.

그렇다면 차례는?

추석에 차례(茶禮)를 지내는 풍습은 고대부터 조상을 기리는 의례가 있었을것으로 추정하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은 형식으로 확립되었다. 이성계가 유교를 국교로 삼고 조상제사를 민간에 장려하여 (왕권강화 수단이긴했지만...)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조선전기까지만 하더라도 양반가에서만 차례를 지냈으며, 여성들은 차례에 배제되었다. 초기에는 제사 음식이 현재보다 간소했고, 엄격한 규칙도 없었다. 역시 꼰대들에 의해서 쓸모없는것들이 많아지는듯.

여전히 많은 가정에서 차례를 지내지만, 그 비율은 계속 감소중에 있다. 2023년 조사에 따르면 추석에 차례를 지내지 않는 가정이 56.4%에서 지내는 가정보다 더 많아졌다.

'차례'는 한자어로, 茶禮(차례)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차(茶)와 예(禮)를 합친 말로, 원래는 차를 올리며 예를 갖춘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한국에서 차례는 조상에게 음식을 올리고 예를 표하는 의식으로 확대되어 지금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순수 한국어로 '차례'를 대신할 수 있는 정확한 표현은 따로 없지만, '조상님께 드리는 예식'이나 '조상께 예를 올리다'와 같은 설명적인 표현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차례'라는 단어 자체가 오랜 전통과 함께 자리 잡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는 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모든 역사는 어두운부분과 밝은부분이 존재하는데, 그 부분도 시대에 따라서 해석하는 부분이 바뀔수 있지 않을까?
한가위는 참 좋은 전통이다.

차례는?, 지나간분들을 생각하는건 좋으나 바로 옆에 현재를 살고있는 분들에게 오히러 고됨이 아닐련지..?

 

 

반응형

Table of Contents


EIGHTBOX
EIGHTBOX
hwaya.

programmer

🍋일상의 소소한 순간들부터 큰 꿈까지, 호기심을 만족시킬 다양한 카테고리를 담은 블로그 입니다. 그리고, 소소한 행동에 감동하며 기뻐하고 하루하루에 감사하는 사람🌵

Today Yesterday Total
최신글